본문 바로가기

IT/소프트웨어

노트북 핫스팟 연결

IT기술이 무궁무진하게 발전함에 따라서 이제는 휴대용 노트북과 같은 Wifi나 무선으로 인터넷을 연결하는 기기들이 많이 사랑받고 있습니다. 저 또한 스마트폰 테더링을 이용하여 어디서든 노트북을 연결해서 편리함을 누리고 있는데요, 그런데 가끔 정말 스트레스 받는 일은 이 스마트폰 핫스팟이 연결이 잘 안될때 입니다.


우선적으로 알고 계시겠지만 휴대용 핫스팟을 키고 컴퓨터에서 무선으로 잡았을때 내 기기가 뜨면 연결만 누르면 바로 인터넷이 되시는 분들은 이해가 잘 되지 않겠지만 가끔 너무나도 불안정하게 연결을 해도 30분,1시간씩 접속이 안될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하는 노트북은 레노버 Z575 모델로 게임용도가 아닌 사무용으로는 그래도 쓸만한 모델이라 안심하고 사용하고 있는데 무선랜카드가 다른거에 비해서 많이 불안정해서 똑같은 핫스팟을 키더라도 잘 못잡는듯 싶습니다. 혹시라도 잘 사용하다가도 랜카드에 문제로 이렇게 테더링이 되다 안되다 그리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는데 오늘은 Note Book 핫스팟 연결이 잘 되지 않을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시원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USB케이블이죠? 스마트폰에 있는 자료나 사진파일들을 옮길때 사용하는 데요, 오늘은 다른 용도로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집에서 사용하는 데스크탑과 같이 IP.TIME같은 공유기를 만드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생각하시는 바와 같이 USB케이블과 스마트폰을 직접적으로 연결시켜서 무선보다도 원활하고 안정적인 접속과 웹서핑이 가능하답니다. 보통 노트북 파우치나 가방에 하나씩 구비해두신다면 혹시라도 필요할 경우 바로 사용할 수 있으니 편리하겠죠?


일단 보이시는 USB케이블을 연결하고 다음으로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이게 작동하는 기기라면 위에 휴대용 WI-Fi핫스팟만 켜주시더라도 쉽게 노트북으로 무선인터넷이 뜨고 더블클릭으로 연결만 해도 되지만 그게 아닌 좀 더 확실한 다른 방법이라는 점 미리 말씀드립니다~)

이제 스마트폰으로 넘어가서 설정에 들어가시면 테더링 및 휴대용 핫스팟이라는 메뉴가 보시실텐데요, 보통 이렇게 설정에 있는 메뉴들이 많아서 그런지 찾기가 힘들수가 있는데 갤럭시 사용자 분들은 환경설정->네트워크 더보기->테더링 및 휴대용 핫스팟 메뉴를 찾을 수가 있고,위에서 내려오는 위젯화면에서도 더보기를 누르면 펼쳐지는 메뉴사이에 존재 할테니 찾으시면 되겠습니다.


사진처럼 제일 초기화면에 보이는 USB테더링에 클릭을 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USB케이블이 잘 연결이 되었다면 노트북에서 내가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잡아 낼텐데요, 바로 인터넷 연결로 들어가기전에 꼭! 해야할 한가지가 있습니다. 근래에 많은 개인정보와 보안문제의 대두로 자신의 개인적인 정보보호를 위해 신경이 쓰이실 겁니다. 특히나 지금처럼 사용하고 있는 개인폰으로 핫스팟을 키거나 할때 다른 사용자들이 접속해 버리면 순식간에 내 데이터가 사라질수도 있다는점! 






그렇기 때문에라도 암호설정은 필수라는점~ 내 휴대용 Wi-Fi메뉴를 들어가시면 밑에 설정이라는 부분을 눌러주셔서 스마트폰 테더링 암호를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내 기기명이 나오고 밑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칸이 나오는데 개인적으로 기억하기 쉬운 번호를 입력해 줍니다. 잊어버리더라도 다시 설정하면 되긴 하지만 연결할때마다 신경쓰이는 부분도 있으니까요~ 


그리고 혹시나 궁금해 할 수 있는것이 보안이라고 되어있는 항목에 WPA2 PSK라는 것이 있는데 다른것과 어떻게 다른지 대략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쉽게 말해서 내 디바이스에 암호화 되어 있는 방식을 말하는 것입니다. 종전에는 WEP,WPA/WPA2등 여러 종류가 있었지만 현재에 사용되는 것이 WPA2인데요, 예를들어 해커가 해킹을 하려고 할때 WEP가 1분만에 할 수 있었다면 WPA2는 대략 하루가 넘게 걸린다고 하네요 참고로 알아두시면 좋을듯 합니다.

   

이제 노트북 화면으로 넘어왔습니다. 왼쪽에 보시는 것 처럼 보통은 오른쪽 하단에 무선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칸이 뜨는데요 웬만한 와이파이를 잡아서 쓸 때에는 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지금은 USB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오른쪽에 보시는 것처럼 케이블이 연결된 아이콘으로 나오실 겁니다. 과연 인터넷이 될까요?


WoW 이렇게 무선 네트워크가 아닌 USB로 연결하니 뭔가 탄탄하고 안정적인 느낌이 드는 것 같습니다. 어려운 부분은 없지만 혹시라도 문제가 있으시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신 분들은 코멘트 남겨 주시면 확인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쉽게 노트북 핫스팟을 연결해 보았는데요, 아무래도 USB케이블이 안전하다고는 하지만 무선으로 잡아서 사용하는게 좀 더 편리한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무선 랜카드에 상태가 좋지 않아 인터넷 연결이 잘 되지 않으시거나, 혹은 도서관 같은 공공장소에서 여러 IP의 충돌때문에 고민하시는 분들은 이 방법도 충분히 효과적일 것 같네요~ 



'IT >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스플로러 오른쪽 마우스 해제  (0) 2014.11.01
컴퓨터 암호설정  (0) 2014.10.31
구글 오른쪽 마우스 해제  (0) 2014.10.28
카카오톡 음성메세지 저장위치  (1) 2014.10.27
PDF파일 열기  (0) 2014.10.25